피부 관리를 위한 모든 정보

케이크 냉장 냉동 보관방법 및 유통기한 본문

다양한 생활 정보

케이크 냉장 냉동 보관방법 및 유통기한

피부 마케터 와이 2022. 12. 23. 18:00

케이크 냉장 냉동 보관방법 

크리스마스가 등 기념일이 되면 가장 많이 팔리는 것중 하나가 바로 케이크입니다.
 
유명한 베이커리나 카페의 경우 미리부터 크리스마스 케이크를 예약해서 크리스마스 이브나 당일에 픽업하는 일도 흔하게 발생할 정도입니다.

 


그런데 케이크 한 판을 주문해서 다른 크리스마스 음식들과 함께 먹다보면 케이크를 다 먹지 못해 보관해야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합니다.
 
보통 이렇게 남은 케이크는 냉장보관 냉동보관 등 각자의 방법대로 보관하게 될텐데, 케이크 종류와 상태에 따라 이런 보관방법이 세균을 증식하게 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어떻게 해야 케이크를 잘 보관할 수 있는지 방법과 케이크 유통기한 및 주의할 점에 대해 확인해보세요.
 

 

케이크 보관시 주의할 점 

케이크를 먹을 때 가장 좋은 방법은 구매한 당일 케이크를 모두 먹는 것입니다. 하지만 사정상 케이크가 남았다면 최대한 본연의 맛을 유지하면서 세균없이 안전하게 보관하는게 중요합니다.
 

 

1. 케이크 냉장보관시 주의할 점

먼저 남은 케이크를 냉장보관할 때 주의할 점을 소개하겠습니다. 
 
남은 케이크를 처음 포장된 상자 박스 그대로 냉장고에 넣어 보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케이크 보관방법은 케이크의 수분이 모두 날라가 푸석푸석한 케이크를 만드는 지름길입니다.
 
한 번 개봉했던 케이크 박스는 재포장한다고 해도 틈이 많이 생기고 밀폐가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밀폐용기입니다. 부득이하게 냉장 보관할 경우 공기가 통하지 않는 밀폐용기를 찾아서 케이크를 넣어주세요.

 

 

 

또한 냉장고 문을 여닫을 때 온도변화를 적게 적도록 냉장고 앞보다는 뒤쪽에 케이크를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제대로 밀폐되지 않은 케이크를 냉장보관 하면서 그 사이에 냉장고 문을 여러번 열었다 닫았다 한다면 냉장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세균이 번식하게 될 수 있으니 주의해주세요. 

 

2. 케이크 냉동보관시 주의할 점

케이크-보관방법-유통기한

 
남은 케이크를 오래 보관하기 위해 냉동보관하는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보관방법이 자칫 식중독에 걸릴 위험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대형 프렌차이즈 카페나 개인 매장 중에는 크리스마스와 같은 기념일을 맞이해서 미리 케이크를 냉동시켜 준비해두었다가 당일에 해동 해 판매하는 경우가 있는데 한 번 해동한 케이크를 재냉동하게 된다면 세균이 빠른 속도로 증식하게 됩니다.
 
처음 냉동했을 때 음식 속에 있던 박테리아가 냉동 상태에선 증식을 멈췄지만, 해동을 하면서 다시 증식을 시작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만약 1인 가구 등으로 케이크가 남을 예정이고, 남은 케이크를 오래 보관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미리 매장에 연락해서 냉동 상태의 케이크로 받고 싶다고 요청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3. 그외 케이크 보관방법

요즘처럼 영하의 날씨가 지속되는 겨울에는 남은 케이크를 냉장, 냉동 보관하기 보다 오히려 베란다에 두는 것도 괜찮습니다.
 
케이크가 푸석해질 수 있는 냉장보관과 세균번식 위험이 있는 냉동보관 보다 온도가 낮은 베란다 등에 두고 하루 이틀 사이에 빨리 섭취하는 것이 더 안전한 보관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케이크 유통기한

 

케이크-보관방법-유통기한

 
케이크의 유통기한은 케이크 종류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생크림 케이크의 유통기한은 1-2일 정도입니다. 생크림 케이크를 구매한다면 최대 이틀 안에 먹는 것이 좋습니다.

 


 
초코크림 등 버터로 만드는 케이크의 경우엔 생크림 케이크보다는 유통기한이 조금 더 긴 편입니다. 하지만 버터로 만든 초코케이크 역시 최대 4-5일 이내에 먹는 것이 좋습니다.
 
케이크는 유통기한이 박스에 적혀있는 경우도 있지만, 개인 매장 등에서 구매할 때 별도의 유통기한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케이크를 만드는 방법과 케이크에 들어가는 재료 등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케이크 유통기한을 정확하게 표기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 입니다.
 
만약 이렇듯 언제 만들어졌고, 언제까지 먹을 수 있는지 알 수 없는 케이크를 구매했다면, 안타깝지만 최대한 구매일로부터 빠른 시일내에 먹는 것밖에는 방법이 없습니다. 
 
케이크를 오래 보관하는 것은 품질이 떨어지고 세균증식으로 안전하지 않으니 유통기한을 모르는 케이크라면  빨리 먹거나 남은 케이크를 아쉬움없이 처분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같이보면 좋은 글
김치 하얀 곰팡이 정체와 방지법 및 먹는 방법 정리
 

김치 하얀 곰팡이 정체와 방지법 및 먹는 방법 정리

얼마전 올 봄 부모님이 보내주신 김치에 하얀 곰팡이가 핀 것을 발견했습니다. 다른 음식이라면 바로 버렸겠지만 부모님이 주신 김치를 버릴 수가 없어서 정체를 찾아보았습니다. 혹시 비슷한

writer-ylee.tistory.com